올해로 568돌을 맞는 한글날은 1991년 공휴일이 많아 경제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 등으로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가 2006년 국경일로 지정, 이후 2012년 말에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게 됩니다. 한글날은 어떻게 10월 9일로 지정되었을까요? 한글날의 유래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로,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였다라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는 사실이지만, 실록 어디에도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은 분명히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한글을 만드는 작업을 매우 은밀하게 추진했기 때문이었으리라 추측되는데요, 실록은 왕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건은 날짜를 정확히 명시해서 기록을 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 / 출처: 플리커 Republic of..
지난 9월 26일(금) 저녁 7시, 윤디자인연구소 1층 세미나룸에서는 제너럴그래픽스의 문장현 대표를 통해 디자이너가 마주하는 수많은 ‘간섭’에 관해 들어보았습니다. 의 현장으로 함께 가볼까요~? ▶ [세미나] 더티&강쇼: 제8회 문장현의 OOO의 간섭 소개 글 (바로 가기)▶ 제너럴그래픽스 문장현 인터뷰 (바로 가기) [좌] 문장현 대표, [우] 진행자 강구룡 개인적인 작품을 만드는 디자이너도 많지만,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디자이너는 클라이언트 잡을 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장현 대표는 오랜 시간 클라이언트 잡을 진행해 오면서 수없이 겪었던 눈에 드러나지 않는 미묘한 간섭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는데요, 안그라픽스 시절부터 지금의 제너럴그래픽스까지, 10년 이상을 디자인 현장에서 버틴 그의 작품에는 ..
매거진 가을호(no.3)가 10월 1일 발간됩니다. 윤디자인연구소가 계간 발행하는 는 계절별로 다른 주제를 선정해 이야기와 생각을 담고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타입&타이포그래피 매거진입니다. 2014년 가을, 세 번째로 발행되는 의 주제는 ‘망각의 흔적, 기억의 회복.’ 한글 디자인에서 결코 잊혀서는 안 될 글꼴 디자이너 최정호 선생의 이야기와, 오는 10월 9일 개관하는 국립한글박물관 및 박물관 아이덴티티(MI) 및 한글누리체에 관한 소식, 오랫동안 꾸준히 사랑 받아 온 머리정체의 새로운 모습, 머리정체 2S로 제작된 포스터 등이 담겨 있습니다. 매거진 가을호를 먼저 만나볼까요~? INSPIRATION, 글꼴 디자이너 최정호 ‘최정호’는 원도활자시대의 대표적인 글꼴 디자이너입니다. 동시에 지금 우리가..
어느새 아침저녁으로 쌀쌀해지는 가을이죠? 여름 내내 마시던 아이스 아메리카노보다 따뜻한 카페라테가 더욱 생각나는 요즘, 저는 환경도 생각할 겸 텀블러를 하나 구매해 보려고 여기 기웃, 저기 기웃, 예쁜 텀블러를 찾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뒤지고 다녔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그냥 투명한 물병인데 사람들의 마음을 휘젓고 다니는 물건이 하나 있더란 말입니다. 그것은 바로 ‘마이보틀’ 이라고 불리는 일본 ‘리버스(Rivers)’사의 물병인데요. 정식 수입이 되기 전 일본에서 대량 구매를 해와 웃돈을 얹어 판매되고 있어서 한때는 정가인 15,000원을 뛰어넘어 5~7만 원에 판매되기도 했더랍니다! 일본 내에서도 물량이 많지 않았으나 한국인 판매가 많아지면서 1인 2개로 구매 제한 방침까지 했었던 콧대 높은 이 ..
수원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무엇인가요? 전 제가 다녔던 학교 빼고는 생각나는 것이 없어요. 그런데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화성이 생각나실 거예요. 화성은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묘를 조선에서 가장 좋은 땅에 모시려고 쌓은 성입니다. 그리고 화성 안에는 정조가 묵었던 화성 행궁이 있죠. 화성 안이 모두 행궁동입니다. 수원은 화성 주변의 문으로 통한다?! 화성 주변으로는 큰 문이 4개가 있습니다. 수원 사는 친구한테 물어보세요. '넌 수원 어디서 노니?'라고 물어보면, 팔달문? 장안문? 이런 식으로 대답하기도 합니다. 제가 대학 다닐 때는 그랬습니다. 왜냐하면, 수원의 소위 번화가들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던 장안문(북), 팔달문(남), 창룡문(동), 화서문(서)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거든요. 그중에..
한국 영화의 천만 관객 돌파, 이제는 너무 익숙한 일인 듯합니다. 최근에 개봉한 영화 은 이미 1,750만 관객을 돌파하며 역대 최다 관객 기록을 세웠다는데요, 조만간 국내 최초로 2천만 관객의 영화가 나오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해요. 최근에는 국내 온라인 광고도 부쩍 성장하여 영화 못지 않은 ‘핫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몇 백만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것은 기본, 여기에 확산 효과까지 더해져 영화 못지 않은 효과를 얻고 있는데요, 이처럼 온라인 광고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광고의 유형 또한 점점 다양해지고 있답니다. 최근에는 소비자를 주인공으로 한 ‘몰카’ 형식의 바이럴 영상이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몰카’ 바이럴 영상 다섯 편을 소개해 드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