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플리커 travel oriented (CC BY-SA) 삼청동, 홍대 그리고 가로수길의 공통점은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라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거리의 기능이 단지 ‘정보를 인지하게 하는 것’에 머물렀다면, 지금은 더 상위의 개념으로 ‘도시의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죠. 오늘은 아름다운 간판과 거리 문화를 위해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조화를 위해 서로 양보할 수 있는 문화 Rue Sainte-Anne, Québec, Canada / 출처: 플리커 Pierre-Olivier Fortin (CC BY) 전 세계적으로 간판과 거리가 아름다운 도시의 특징은 간판을 최소화하면서 거리의 풍경을 최대한 살려주는 데에 있습니다. 캐나다와 독일, 일본 같이 최..
매주 토요일 저녁이면, 우리의 안방을 웃고 울리는 예능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바로 평균 이하의 남자들이 펼쳐가는 ‘무한도전’입니다. 그런데 무한도전 로고 속 글자는 어떤 폰트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바로 ‘한글 최초 모음 중심’이라는 콘셉트로 제작했던 ‘율려’폰트입니다. 윤디자인연구소는 오랜 시간 사랑 받아 온 율려폰트에 예술적 요소를 가미하여 ‘아트율려’로 새롭게 탄생시켰습니다. 누구나 손쉽게 폰트를 아름답게 꾸미는 방법, ‘아트율려’ 사용후기를 들려드릴게요. ▶ 폰트의 예술적 활용! ‘아트 율려' 폰트를 소개합니다 다시보는 ‘아트율려’ 스타일 누구나 폰트만으로도 예술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낼 수 있는 ‘아트율려’ 폰트! 어떤 문구를 써도 특별해 보이도록 설계한 아트율려는 특유의 조형미를 극대화하기 ..
여러분은 ‘경기도 포천’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역시나 먹을 것부터 떠오르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유명한 이동갈비와 포천막걸리, 산정호수앞 드라이브와 군부대가 많아 면회하는 사람도 많고요. 또한,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중 하나인 광릉도 있고, 그 바로 옆에 광릉수목원이라고 불렸던 국립수목원도 있죠. 요새는 허브아일랜드도 많이 가고, 겨울이면 스키를 타러 베어스타운을 찾죠. 이렇듯 포천은 자연과 레저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수도권에서 가까운 대표적인 휴양도시입니다. 이런 무궁무진한 포천시에서 전용 서체를 개발했답니다. 고딕 형태의 ‘포천 오성과 한음체’와 캘리그래피 스타일의 ‘포천 막걸리체’ 2종인데요. 포천시의 특색을 잘 살리고 모든 사람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디자인했죠. 그럼..
출처: 플리커 homelessfonts Arrels(CC BY-NC) 혹시 라는 잡지를 들어보셨나요? 지하철역이나 그 외 다른 지역에서 한 번쯤은 만나보셨을 듯한 빅이슈는 노숙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잡지입니다. 이처럼 노숙인의 자활을 돕기 위한 재능기부가 곳곳에서 계속 되고 있는데요. 스페인에는 노숙인의 자립을 돕는 ‘착한 폰트’가 있다고 해요. 노숙인의 희망, ‘homelessfonts’를 지금부터 소개해드릴게요~ 출처: vimeo_homelessfonts Arrels 노숙인의 손글씨를 본따 만든 서체, ‘Homeless Fonts’ 출처: 플리커 homelessfonts Arrels(CC BY-NC) ‘homelessfonts’는 노숙인의 손글씨를 본 따 만든 폰트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1,400명의..
오늘날에도 푸투라(Futura)는 가장 인기있는 산세리프 글꼴 가운데 하나입니다. 푸투라는 아드리안 프루티거의 아브니르(Avenir)같은 기하학적인 산세리프 서체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푸투라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체 벌라크(Verlag)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벌라크의 기반인 푸투라 살펴보기 벌라크를 소개하기 전, 먼저 푸투라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까요? 푸투라의 탄생은 20세기 모던 디자인 운동, 그 중에서도 독일의 디자인학교 바우하우스와 관계가 깊습니다. 바우하우스의 타이포그래픽 공방 교수였던 헤르베르트 바이어(Herbert Bayer, 1900~1985)는 유니버셜(Universal)이라는 서체를 디자인했는데요, 이 실험적인 서체가 푸투라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답니다. Univer..
안녕하세요. 폰트디자이너 한선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고도소프트 전용서체인 ‘고도체’를 소개할까 합니다. 전용서체, 이제 익숙한 단어죠? 글자나 문구 하나만으로도 어느 기업인지 인식되고,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는 수단으로 많은 기업이 전용서체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고도체의 경우 제567돌 한글날을 기념해 무료로 배포한 서체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료서체랍니다. 지금부터 그 이야기를 들려 드리겠습니다. 글자의 종수 및 두께 고도체는 글자의 특징을 부각하여 제작하되, 문자로서 가장 기본적인 읽힘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제작해야 한다는 점을 되새기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고도소프트 전용서체는 Medium, Bold 총 2종으로 구성했습니다. 한글은 유니코드(Unicode) 기반의 2,350자(추가자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