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콘텐츠

'모든 콘텐츠' 검색결과 (1066건)

아빠와 딸, 월드비전 ‘꽃들에게 희망을’ 캠페인에 참여하다

아프리가 소녀들에게 면 생리대를 보내주는, 월드비전의 ‘꽃들에게 희망을’ 캠페인에 참여해보기로 했습니다. 어느 토요일 아침, 초등학교 3학년 딸아이와 마주 앉았습니다. 아빠: (면생리대 DIY키트를 꺼내며) 이게 뭘~까? 딸: 바느질하는 거야?아빠: 혹시 엄마한테 생리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니?딸: 피나는 거? 왜 여자들만 아픈 걸까?아빠: 아이를 가지기 위..해..딸: 아빠, 그건 인간의 원죄 때문에 그런 거야!아빠: 아..그..래.. 본격적인 생리 교육을 위해 그동안 딸아이가 못 보게 엄마가 숨겨두었던 학습 만화책 을 꺼냈습니다. 생리란 그저 피를 흘리는 무서운 일이 아니라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과정임을 함께 배우고, 여성의 몸에서 어떻게 새 생명이 잉태되는지도 아빠와 딸이 나란히 앉아 ..

모바일 앱 UI·UX 디자인 기초 팁 몇 가지

출퇴근길은 물론 평상시에도 쉽게 손에서 놓지 못하는 스마트폰, 그리고 앱. 그만큼 우리가 하루에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는 시간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제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었을 정도로 곁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프로그램들이죠.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다 보니, 더불어 모바일 앱 시장 규모도 커지고 그에 따라 모바일 앱을 전문으로 하는 UI, UX 디자인 또한 주목받고 있습니다. UI, UX 디자인의 정확한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UI 디자인은 user interface design의 약어로, 말 그대로 사용자(User) 위주의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즉,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기술과 디자인을 실현시켜 사용하는 것이죠. 그리고 모바일이나 웹디자인에서 UI는 보다 세부적인 범위로 ..

서교동 홍대앞, 나만 알고 싶은 ‘조용한 카페 2곳’

홍대 주변에 빼곡히 들어선 무수한 카페들. 커피 좀 내린다고 소문난 곳에는 언제나 손님들이 북적북적합니다. 그나마 번화가로부터 벗어난 서교가든 사거리 부근은 꽤 한적한 편인데요. 바로 이곳에, 조금은 여유롭게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카페 두 곳이 자리하고 있답니다. 커피 러버(coffee lover)라 자처하는 분들을 위해 소개해드립니다. ‘나만 알고 싶은’ 두 카페. 아이들모먼츠(IDLE MOMENTS) 소위 세련된 분위기의 도시적 카페와는 전혀 다른 이곳. 건물 2층에 자리 잡은 소소한 아지트 같은 카페. 오랜 시간을 층층이 쌓아놓은 듯 허름하고 어둑한 계단을 올라서니 따스한 색감의 조명과 은은한 원두 향이 저를 반겨줍니다. 아이들모먼츠에 대한 제 첫인상은 흔히 볼 수 있을 것 같은 소박함과 편안함의 ..

<아가씨> 박찬욱 감독이 선택한 윤서체는?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등 국제적 규모의 영화제에는 세계 유수의 영화인들과 쟁쟁한 작품들이 결집합니다. 특히 국내작들의 경우, 현장 상영회 분위기를 전하는 뉴스들이 영화제 기간 동안 끊이지 않는데요. 그중 자주 접하는 기사 중 하나가, 어떤 작품이 현지 관객들의 호평과 더불어 기립박수를 받았다는 소식입니다. 이때의 ‘기립박수’란 일반적으로 엔딩 크레딧이 오른 뒤, 혹은 엔딩 크레딧이 모두 끝난 뒤 이어집니다. 기본적으로 영화 한 편의 런닝타임이란 엔딩 크레딧을 포함하므로, ‘영화제’라는 공식 석상이라면 엔딩 크레딧까지 객석에 앉아 있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앉아 있다’라기보다는, 런닝타임의 맥락에서 한 작품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관람하는 것이지요. 다시 말하면, 엔딩 크레딧 역시 ..

[시간의 얼굴, 글자의 표정] 1부. 담배 패키지

일상적인 물건들은 그 일상성 때문에 사용자의 특별 대우로부터 얼마간 멀어지는 부당함(?)을 겪곤 합니다. 새것이 일상화되면 ‘헌것’으로 변하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 헌것에는, 새것에는 없는 무언가가 깃들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역사성’이지요. 현명하고 사려 깊은 분들은 헌것, 옛것, 지난 것 들을 아낍니다. 그 덕분에 신제품이 애장품으로, 기억이 추억으로, 과거가 역사로 승격할 수 있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은 보기 힘든 어떤 제품의 형태, 글자, 시각적 요소들은 그 제품을 쉽게 만날 수 있었던 당시의 감각과 문화를 엿보게 해주지요. 윤톡톡에서 ‘시간의 얼굴, 글자의 표정’이라는 연재를 시작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첫 순서는 담배 패키지입니다. 애연가로 유명한 소설가 박범신 씨는 “담배는 비의적인 ..

MS워드∙한컴오피스에서 가변폭 한글 사용하는 법

MS워드 2010로 윤디자인그룹 글꼴인 영묵체로 문서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자간 여백이 좁아지거나 넓게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군요. MS워드 2007과 2010 버전에서는 가변폭 한글 글꼴을 사용할 경우 첫 글자인 `가`의 글자폭이 모든 글자에 동일하게 자동 적용되기 때문이지요. 글자 형태와 밀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폭을 가진 형태로 표현되는 셈입니다. 쉽게 말해, 본래 가변폭이었던 글꼴이 고정폭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캘리그래퍼 강병인 선생의 글씨를 모태로 한 영묵체는 아래를 보시다시피 가변폭으로 제작된 글꼴입니다. 그렇다면, 가변폭 글꼴을 고정폭 자동 변환의 형태가 아닌, 본래의 모습으로 쓸 수는 없을까요? 없긴요. 방법이 있습니다. ^^ [파일] → [옵션] → [고급] → [레..